과다한 토양내 무기염류는 식물생장을 제한한다.
※ 식물생리학 p.87
3) 과다한 토양내 무기염류는 식물생장을 제한한다.
토양내 과다한 무기염류가 존재할 때 염성(saline)이라 하는데,
이들 무기염류 이온들이 물의 이용 가능성을 제한하거나 특정한 영양소의 적정범위를 벗어나는 수준에 이르면 식물생장은 제한될 수 있다.
염성토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염은 소금과 황산나트륨이다.
건조 또는 반건조한 지역의 토양에 과다한 무기염류가 존재하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데, 왜냐하면 강수량이 불충분해서 토양에서 무기염류들을 용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토양에서 무기염류들을 씻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간개농업도 토양의 염류화 현상을 촉진한다. 관개수는 톤당 100~1,000g의 무기염류를 포함한다. 보통 작물은 에이크당 4,000톤의 물을 필요로 한다. 결과적으로 작물당 토양에 400~4,000kg의 무기염류를 가하게 되고, 경작 시기가 여러번 지나면 무기물이 고농도로 토양에 축적된다.
염성토양에서 식물은 염 스트레스(salt stress)를 받게 된다. 일부 식물들은 과다한 무기염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과도한 염류로 인한 또 다른 중요한 문제는 토양내의 중금속 축척인데, 이것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식물에도 심각한 독성을 야기한다.
중금속에는 아연, 구리, 코발트, 니켈, 수은, 카드뮴, 은, 크롬 등이 속한다.
출처 : 장윤환! 내가 생각하는 조경은...
글쓴이 : 장선생 원글보기
메모 :
'study > 토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물의 중요성과 이해 (0) | 2017.03.20 |
---|---|
[스크랩] 토양 pH (0) | 2017.01.23 |
토양 생물과 유기물 (0) | 2016.09.18 |
[스크랩] ★토양분석 data의 판독과 조치방법 (0) | 2016.07.06 |
토양의 단면과 특성 (0) | 2016.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