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무는 우리가 알고있는 지하고[분지점]1미터입니다. 3줄기가 직립화되어 보행자.주차에 전혀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3줄기에서의 각각 잔가지 배치는 1.8미터 정도에 위치합니다.
이나무가 느티모델이라고 볼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이나무에 배울것이 있습니다. 1.3줄기 분지. 2.분지된 줄기가 가급적 비슷하게 굵게 자라는 세력유지. 3.3줄기 분지된 것들이 직립되어 있다는것입니다.
실생묘의 느티는 형질보장이 되질못해 분지후 다양한 각도 형성이 됩니다. 초기부터 이러한 예각으로 올라서는 경우도 있고 횡으로 완전 전개되는 스타일도 있고 아무리 만져줘도 계속 옆으로만 가려고 하는 개체도 있습니다.
소나무를 키우다보면 형질이 반송형이거나 열성인자들은 거의 자라질 못합니다. 실생의 단점이지요. 어느높이던지 두목을 하고난후 세력이 비슷한 3줄기를 배치하고 줄기가 벌어졌다면 끈으로 모아서 직립화 하는것 매우 중요합니다. 과수원하시는분들 가지배열할때 식재후 2-3년안에 주지를 잡아 줍니다. 정말 과수하는분들 이시기를 가장 중요하지요.이후 결실이되면 나무수형을 다시 할수 없기에 가장먼저 식재후 퇴비.제초관리.배수관리 잘해서 초기세력을 유지한후 주지들을 만들어내주면 이후는 편안하게 농사를 짓기때문입니다.
느티.왕벚등의 수형이 우산형으로 퍼지는 나무를 인위적으로 만들려면 꼭 재배자가 해줘야할일입니다. 느티나무를 줄기 반듯하게 세우는것까지는 잘되는데 이후 수형전개 줄기들 관리엔 거의 무시되는 경향이 짙습니다.
관행적인 기존의 느티나무 재배방식은 이제 버려야하고 농사짓기 싫어 나무심는다는 개념을 버리고 하나의 경제성있는 개념으로 이후 키우시는분들 적용하기 바랍니다.
2줄기.3줄기 굵기가 고르게 키울수 있는 방법은 두목하면 세력이 강한것을 골라 2-3줄기 선별하고 나머진 제거합니다. 제거 시기는 주간과 새순이 여물었을때로 보통 장마가 지난후가 좋습니다. 장마동안 비바람.태풍에 의해 미리 선별해놓으면 날라가버릴수도있습니다. 대체할 가지가 없어집니다. 이듬해 3줄기가 자라게 되며 그중에서도 강한 줄기가 생깁니다. 이때 약한가지를 먼저 닥발전정해서 싹이 튼후 중간줄기.세력강한 줄기를 잘라줍니다. 그래야 약한 가지에서 먼저태어난 새순들이 힘을받고 자랍니다. 이걸 거꾸로 세력강한 가지부터 잘라주면 측지가 나와 힘이 세어져 약한줄기들을 제압합니다.
두번째로 세력조정하는 방법이 3줄기중 2줄기는 적당하다고 생각될때 세력 강한 가지만 절단해줍니다. 이때 절단해주는 위치가 중요한데 남겨둔 약한가지들의 1/3지점이 좋습니다. 이런경우 가을이 되면 거의 원형의 수형을 가지게 됩니다.
사진까지 올려줘야 이해도가 빠르나 느티나무가 없어 죄송허네요. 일단 글내용부터 이해하고 생각해보세요. |
'study > 조경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약의 종류와 이해 (0) | 2014.02.07 |
---|---|
[스크랩] 조경수 관리요령 (0) | 2014.01.12 |
특A급 이팝나무란... (0) | 2014.01.09 |
[스크랩] 묘목재배 (0) | 2014.01.05 |
[스크랩] 전 국립산림과학원 조경수 실장 박형순박사의 조경수재배 방법 강의 요점 (0) | 201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