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벗나무에 생긴 치마버섯이다.
버섯은 나무의 줄기내부에서 생기는 심재부후균이 있고
줄기부분에서 변재부후균이 있는데 치마버섯은 변재부후균에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일소나 동해피해 발생 후에 생긴다.
이 왕벗나무는 일소로 가지가 고사되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치료방법으로는 죽은 조직에서 발생되는데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고
살균제 베노밀 등으로 확산 방지는 가능..
출처: facebook -Unggyu bak님의 글 중에서-
회복불능의 수형이므로 b급으로도 판매할수없고
소각하는게 최선의방법이라 여겨집니다.
'story > 왕벚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사하고 우아한 연분홍 꽃잎 왕벚나무 (0) | 2018.05.12 |
---|---|
회색 고약병 (0) | 2015.02.04 |
[스크랩] 왕벚나무의 아름다운 단풍 감상~ (0) | 2014.11.26 |
[스크랩] 2011년도 집중호우(폭우)로 인한 수목의 침수(배수불량) 효과 피해 발생 사례 (0) | 2014.11.01 |
[스크랩] 초보회원님들은 꼮 보세요 (이용연회장 농장탐방) (0) | 201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