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수목생리학

벚나무류 고사원인의 질문과 답

학훈아빠(김정식) 2018. 1. 1. 12:15

 

▲ 움돋이가 생기는 원인: 상부의 지엽(枝葉)이 왕성하지 못하여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기때문에 뿌리에 축적되어있던

양,수분을 사용하여 광합성으로 보강하려는 수목의 생리

움돋이를 제거하게되면 수목은 점점 쇠약해진다.

▲ 심식으로인해 산소가 결핍 뿌리썩음을 일으키고

건조에 쉽게 노출, 수분 스트레스로 고사까지 진행될수있다.

 

출처:수목의 진단과 조치

 

▼ 아래 사진은 서울대학교 식물병원에 의뢰한

벚나무의 피해사례입니다

 

2014년 4월 세종시 정부청사 주변에

산벚나무 b12점 13주에서 발생

정확한 병해진단과 이식시 고사위험이 있지않은지에대한 고민

 

 

 

 

 

 

나무의 원줄기와 굵은가지를 버섯류가 가득 뒤덮고 있는데 이것은

물이 올라오는 목질부의 변재부가 이미 많이죽고 썩었다는 표시입니다.

목재 부후균이 많이 발생한것은 나무를 이식할때 심식을 했거나

이식후에 관수를 자주,충분히 하지않았기 때문입니다.

사진과 같이 뿌리에서 맹아가 많이 나왔다는것은 심식이 되어있다는

표시입니다.

이런 나무는 살아남기 어려우므로 일찍 제거하는것이 좋습니다.

 

꽃이 피지않고 말라죽은 가지들도 마찬가지로 이식할때 심식을 했거나

이식후에 뿌리가 제대로 활착하도록 관리를하지않아 발생한 현상입니다.

이러한 나무는 죽은 가지를 맘끔히 제거하고,에코비타,뿌리짱짱 같은 발근촉진제의

500배 액을 10일 간격으로 4~5회 뿌린후에 충분히 관주해서

뿌리발달을 도모하는것이 필요합니다.....<나용준 명예교수의 답변>

 

 

상식과 충분한 물공급만으로도

수목의고사를 예방할수있다 할수있겠네요~^^

 

'study > 수목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재후 생육  (0) 2018.10.07
수목살리기와 치료의 요점   (0) 2018.05.03
수간의 부후,공도의 진단  (0) 2017.04.02
[스크랩] 캘러스  (0) 2017.01.23
모과나무 나선목리(螺旋 木理)  (0) 2016.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