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수목생리학

Ca,Mg,Fe,B 결핍증상과 해결방안

학훈아빠(김정식) 2016. 2. 7. 12:35

대상작물 : 사 과

결핍원소 : 칼 슘[Calcium, Ca]

발현부위 : 잎, 줄기, 열매

결핍증상

○사과 유목에서 수분결제 처리에 의한 칼슘 흡수 저해로 생장점 부위 잎의 선단부위가 황화되고 흑갈색으로 괴사되며 생장이 억제된다.

○작물전체가 위축되고 어린싹이 소형으로 되면서 황화한다.

○생장점 부근의 어린잎 주변주가 갈색으로 되거나 일부 고사한다.

○과실의 꽃붙은 부위가 흑변한다.

진단요점

○생장점 부근의 황화상태를 관찰한다. 황화가 잎맥과 관계치 않고 모자이크상으로 되어 있으면 바이러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단을 요청한다.

○상태가 비슷하더라도 잎자루 부분에 코르크모양의 균열이 있으면 붕소결핍의 가능성이 크다.

○과실에 꽃이 붙어 있고 곰팡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여 곰팡이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잿빛곰팡이병일 가능성이 크다.

○생장점의 생육이 정지되고 하위잎은 정상이지만 상의잎이 이상하게 되거나 포기전체가 딱딱해지거나 베꼽썩음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뿌리가 갈변하기도 한다.

발생하기 쉬운 조건

○토양중에 칼슘이 부족한 경우.

○토양중에 칼슘이 많아도 염류농도가 높은 경우.

○질소비료를 과잉으로 사용한 경우.

○토양이 건조한 경우.

○칼리비료를 다량 시용한 경우.

○공중습도가 낮고 고온이 계속되는 경우.

대 책

○토양진단으로 칼슘이 부족한 경우에는 석회를 충분히 시용한다.

○깊이 갈이를 하고 충분히 관수한다.

○응급대책으로 0.3-0.5%의 염화칼륨 수용액을 1주일 간격으로 2-3회 엽면살포 한다.

 

 

 

대상작물 : 사 과

결핍원소 : 마그네슘[Magnesium, Mg]

발현부위 : 잎

결핍증상

○사과 잎에서 마그네슘 결핍 증상은 쉽게 발견 할 수 있다. 사과나무의 줄기가 신장할 때 줄기의 아랫잎에서 잎 선단부터 황화되면서 심하면 잎 전체가 황화된다

○봄철에 사과나무의 가지가 2차 신장을 할 때에 신장하는 부위의 잎 생장에 필요한 양분을 가지의 아랫잎으로부터 재전류되어 이용하게 되므로 이 때 마그네슘 결핍이 쉽게 일어난다.

○잎맥사이에 황화현상이 나타나고 서서히 하위잎으로 진전된다. 생육후기에는 모든 잎이 잎맥만 남기고 황화한다.

진단요점

○생육이 빠른 시기의 백화현상 발생은 비료에 의한 가스장해일 가능성이 높다(비닐하우스 2,3주 피복시 과실이 아직 비대하지 않은 상태).

○장기간 저온이 계속되고 광선이 부족해도 잎의 황화가 발생된다.

○황화가 잎맥사이에 규칙적으로 나타나는가를 확인한다. 불규칙으로 점이 생기고 노란 반점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잎곰팡이병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단을 요청한다.

○잎의 뒷면을 잘 조사해서 곰팡이가 생겨 있는 경우에는 잎곰팡이병이라 판단해도 좋다.

○잎가장자리로부터의 황화는 칼리결핍일 가능성이 크다.

결핍특징

○일반적으로 아래쪽 잎부터 발생되지만 과실비대 최성기에는 과실에서 가까운 잎에 나타난다.

○처음에는 잎맥사이가 황화되어 자는 경우와 황갈변되는 경우가 있다.

○백화현상이 진전되다 말기에 이르러서는 일부가 괴사현상(Necrosis)이 발생하기도 한다.

○과실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발생하기 쉬운 조건

○토양중의 마그네슘함량이 적은 경우.

○토양중의 마그네슘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어도 칼리비료의 다량시용등에 의해 Mg 흡수가 방해되는 경우.

○작물 전체가 마그네슘 요구량은 많으나 뿌리로부터의 공급이 따르지 못하는 경우.

대 책

○토양진단에 의해 마그네슘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고토비료를 시용한다.

○응급대책으로는 1-2%의 황산마그네슘수용액을 1주 간격으로 3-5회 엽면살포 한다.

 

 

대상작물 : 사 과

결핍원소 : 철 [Iron, Fe]

발현부위 : 잎, 줄기, 열매

결핍증상

○사과 성목에서 발생한 철 결핍 증상으로 새 잎이 담록색으로 되면서 잎맥의 구분이 뚜렷해 진다.

○선단잎이 황화하며 잎은 점점 잔잎으로 되어 줄기의 신장이 저해된다. 새로운 잎맥을 남기고 황화된다.

진단요점

○잎맥에 남은 엽록소의 농도를 확인한다. 엽록소의 농도가 진하면 마그네슘결핍일 가능성이 있고 엷어서 백색으로 되면서 퇴색하는 것은 철결핍이라 판단해도 좋다.

○토양의 산도가 높은지 낮은지를 조사해서 높은 경우는 철결핍일 가능성이 높다.

○토양재배에서는 식물전체에 증상이 나타나는 일은 그리흔하지 않다.

결핍특징

○체내 이동이 잘 안되기 때문에 하위잎에 나타나지 않고 새로 나온 잎에 나타난다.

발생하기 쉬운 조건

○인산이 많고 pH가 현저히 높은 경우 또는 인산비료의 과잉시용결과 철의 불용화가 진행될 때.

○토양소독에 의해서 암모니아태 질소의 초산황성작용이 저해되었을 때도 암모니아의 장해에 의해서 철분의 흡수가 유발.

○과건, 과습, 저온 등에 의한 뿌리의 활력 저하가 있을 때.

○구리, 망간과잉에 의한 철과의 길항작용이 일어날 때.

대 책

○토양진단결과 pH가 높은 경우에는 pH를 6.7-6.5가 될 때까지 석회류의 시용을 중지하고 생리적 산성비료를 시용한다.

○인산과잉의 경우에는 깊이갈이, 객토 등으로 희석시키거나 흡비작물을 도입하여 윤작을 한다.

○응급대책으로서는 황산 제1철 0.5-1.0%수용액 또는 구연산철 100ppm수용액을 1주 간격으로 2-3회 엽면살포한다. 또는 50ppm의 킬레이트(Fe-EDAT) 수용액을 토양에 관주한다.

 

 

대상작물 : 사 과

결핍원소 : 붕 소[Boron, B]

발현부위 : 잎

결핍증상

○사과나무에서의 붕소 결핍은 한발이나 수분 주족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은 새잎이 담록색으로 변하고 잎 끝이 황화 고사되며 생장점이 점차 퇴화된다.

○사과나무의 붕소 결핍증상은 신초의 잎이 담록색으로 되고 작으며 잎자루가 짧으며 점차 황화 고사하고 생장점이 퇴화된다.

○새로운 잎이 생육이 정지되고 포기전체가 위축상태로 된다.

○줄기가 굽어지고 줄기의 뒷면에 갈색 코르크모양의 균열이 생긴다.

○과실의 뒷면에 코르크모양의 균열이 생긴다.

○잎색이 약간 농록색으로 된다.

진단요점

○발생이 상위잎에 나타나는지 하위잎에 나타나는지를 확인 한다. 하위잎의 경우는 붕소결핍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단지 초기에는 결핍되고 후기에는 공급될 때는 하위잎에 증상이 남는 일이 있다.

○생장전부근의 위축은 칼슘결핍시에도 코르크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새로운 잎의 기형은 해충(진딧물)에 의해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잘 관찰하여 해충의 유무를 확인한다.

○바람으로 잎과 줄기가 파손되어 그 흔적이 코르크화 되는 일도 있음을 유의한다.

결핍특징

○생장점의 발육이 정지되고 위축되며, 줄기의 뒷면이 코르크화되거나 과실표피가 코르크화 되는 등의 증상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발생하기 쉬운 조건

○토양의 건조, 유기물 시용량이 적은 토양에서 자주 발생한다.

○칼리비료를 다량 시용한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대 책

○붕소가 함유된 비료를 시용한다.

○응급대책으로는 붕사0.1-0.25% 수용액을 엽면살포 한다.

 

 

--------- 출처 :흙토람 (작물영양진단) 중에서 발췌---------

 

황화현상:엽록소의 합성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나는데

엽록소의 구성성분인 질소와 마그네슘의 결핍뿐아니라

칼륨,철,망간의 부족으로도 나타나고

무기영양소의 결핍이외에도 수분부족,이상기온,독극물

무기염류의 과다등으로도 황화현상은 나타날수있습니다

 

알카리성 토양에서 자라는수목에서 발견되는 황화현상은

대부분 철분부족으로 발생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원소는 성숙잎에서어린잎으로 부족한원소를 이동시키므로

부족현상은 성숙잎에서 먼저 나타납니다

(수분부족은 반대로 어린잎에서 발생)

 

질소,인,칼륨,마그네슘은 이동이 쉬운원소

칼슘,철,붕소는 이동이 쉽지않은원소

해서 결핍현상은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생장점,열매,어린잎에서 먼저발생합니다

 

위사진에서보듯 사과나무뿐아니라 목본식물의 황화현상은

공통된사항이므로 수목생리와 토양학을 조금 공부한다면

아주쉽게 대처하리라 생각됩니다  ^^*